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Ⅱ

꽃 분화, 꽃 형성 모델(ABC 모델)

● 고등학교 생명과학Ⅱ 교육과정 상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 단원에는 나왔었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 유전자 발현과 조절 단원에는 내용이 빠졌다.

 

17년 7월 모의고사, 14년 9월 모의고사에는 나왔었다. (2009 개정 기준일 때)

17년 7월 모의고사 18번 그림
14년 9월 모의고사 19번 그림

● 전공서 내용

 

식물의 꽃 분화, 꽃 형성에 관여하는 개화 조절 유전자로는 A군, B군, C군 유전자가 있다.

각 유전자가 전사, 번역되어 만들어진 단백질이 전사인자로 작용한다.

 

A군 유전자는 꽃받침과 꽃잎을 형성하는 윤생체 1, 2에서 발현된다.

B군 유전자는 꽃잎과 수술을 형성하는 윤생체 2, 3에서 발현된다.

C군 유전자는 수술과 암술을 형성하는 윤생체 3, 4에서 발현된다.

 

윤생체 : '바퀴 윤' 자를 써서, 꽃, 잎 등의 구조가 바퀴모양처럼 원형으로 돌려서 나는 형체를 의미

즉,

A만 작용할 경우 : 꽃받침

A+B가 작용할 경우 : 꽃잎

B+C가 작용할 경우 : 수술

C만 작용할 경우 : 암술

을 형성한다.

 

유전자 발현 위치에 따른 꽃 구조 형성

 

그리고,

A와 C는 서로 억제 관계에 있기 때문에

A군 유전자가 돌연변이 시, A가 발현될 자리에서 C가 발현된다.

C군 유전자가 돌연변이 시, C가 발현될 자리에서 A가 발현된다.

(B군 유전자가 돌연변이 시, A와 C는 기존처럼 발현되고 있다.)

 

각 유전자군 돌이변이 시


대학교 때 전공 시험, 졸업 시험에서도 단골로 나왔던 개념이다. 측면에서 본 모습을 기억하고 서로 억제하는 관계만 알아두면 어렵지 않을 듯하다.